횡격막, 복부 및 흉부의 호흡 근육 약화.
체형변화로 인해 척추후만과 통모양 가슴.
흉곽 경직도 증가.
폐포의 탄력 반동의 소실과 확장.
전도기도의 직경 증가, 석회화, 점액선 비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적 변화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호흡근의 강도와 지구력의 감소.
동맥혈산소분압, 산소포화도의 감소.
(이산화탄소분압의 변화는 없음)
폐확산능력의 감소
최고 호기 유량의 감소
잔기량 증가, 기능잔기용량 증가, 폐쇄용적 증가
나이가 들수록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폐모세혈관 밀도는 감소합니다.
20대에 이미 폐기능의 감소가 시작되며,
노인들의 경우에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특발성폐섬유화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노화 과정의 비정상적인 조절의결과로 발생하게 됩니다.
'노인의학(항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환자, 비타민D 결핍되면 혈당 조절 실패 위험 약 4배 증가 (0) | 2020.06.02 |
---|---|
골다공증 치료제. (0) | 2020.04.14 |
손떨림(수전증)과 파킨슨 (0) | 2020.03.16 |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전신적인 질환 (0) | 2020.02.25 |
65세이상 고령자의 요통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