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 즉 디스크가 정상정인 위치에서 벗어나 탈출하면서 요추 신경을 압박해서 생기는 통증 질환으로 요통과 함께 천장관절, 둔부, 서혜부, 대퇴부, 종아리, 발까지 방사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추간판탈출증은 탈출의 정도에 따라서 팽윤과 돌출, 탈출, 부골화 단계 등으로 분류가 됩니다.
요추 척추관협착증은 요추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나 추간공, 외측 함요부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관경이 좁아져서 경막낭과 신경근에 대한 압박 및 혈류장애를 유발하여 신경근의 대사를 방해하여 나타나는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보통은 요추 4,5번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요추 5번과 천추 사이에서도 호발합니다.
주원인은 추간판 후면의 비대, 요추의 퇴행성 골관절염, 척추후관절의 골극형성, 황색인대의 함입, 척추전방전위증, 추간판탈출증, 파젯병, 선천성 척추관협소 및 연골발육부전, 후종인대골화증 등이 있습니다. 엑스레이로는 확진이 어려워서 주로 mri 나 ct상의 소견을 통해서 진단이 가능합니다.
요추추간판탈출증은 허리에서 다리 심하면 발까지 저리거나 당기는 통증이 생기는데 특징으로는 기침이나 배변시 허리통증이 가중될 수 있으며 자세 변경시에 통증이 발생하는데 앉았다 일어나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폈을 경우 허리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허리 통증은 미미하지만 둔부부터 하리로 통증이 내려올 수 있습니다.
요추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은 요통과 함께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이 특징인데 걷거나 서 있을 경우 하지에 조이는 듯한 통증과 근력약화가 발생하다가 허리를 숙이거나 쪼그려 앉으므로서 증상이 소실이 됩니다. 또한 언덕을 오를 때보다 내려올 때 통증이 심하다는 호소를 하게 되며 점점 짧은 거리에서 나타나는 파행의 정도가 병의 진행을 의미하게 됩니다.
추간판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 모두 신경통이다 보니 쉽게 치료가 안되고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유후정한의원에서 보다 정확한 진단과 함께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