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통증의학과(디스크,협착증)

"제 병명이 관절인가요?"

유후정한의원원장 2019. 10. 8. 16:12

갑자기 이렇게 질문을 해오면 저는 당황하게 됩니다.

저 질문이 어떤걸 물어보는 건지 정확한 의미를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관절은 영어로는 joint 즉 두개 이상의 뼈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병명이 아닙니다. 인체의 부위 명칭에 해당합니다.

견관절, 슬관절, 손목관절, 발목관절, 손가락관절, 천장관절 등등 수많은 뼈와 뼈 사이가 관절로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인체의 관절은 몸의 골격을 유지하는 기능과 운동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절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구조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이 있는데

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섬유성 관절, 연골성 관절, 윤활 관절로 분류하며

운동성에 따라서 부동관절과 가동관절로 나눕니다.

관절과 관절 주위 조직의 병변은 관절통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관절과 관련된 수많은 질환이 있습니다.

관절에 생기는 급성 염증질환으로는 패혈성 관절염, 통풍, 라이터증후군, 급성 류머티스, 출혈성 관절증과 비염증성으로는 골절과 외상 등이 있습니다.

만성 염증질환에는 염증성으로 결핵성, 건선성 관절염, 가성 통풍, 유년성 관절염, 류마토이드 관절염, 결정유발성 관절염, 루프스, 경피증 등이 있고

비염증성으로는 골관절염, 골괴사, 신경병증성 관절염, 출혈성 관절증 색소 융모결절성 활액막염, 이물성 활액막염 등이 있습니다.

관절주위의 국소성 질환으로는

급성 염증질환으로 점액낭염, 패혈성 점액낭염, 건초염, 건활액막염, 늑연골염, 삽입물 염증, 골막염과 비염증성으로 수근관증후군,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이 있습니다.

만성 염증질환에는 염증성으로 건초염, 늑연골염, 삽입물염증, 골막염. 다발성 근염이 있고 비염증성으로는 수근관증후군, 근막통증 증후군, 레이노증후군, 유골골종, 섬유근통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관절과 관절주변의 병변이 있기 때문에 환자분이 갑자기

본인이 아픈 부위를 가르키며 이게 관절 맞아요 물어보면 섣불리 대답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보통은 손목이나 무릎이 아프다고 하며 관절이냐고 하실 때는 류마티스성이나 골관절염이냐 둘 중에 하나에 해당하는지 물어보는걸로 알아듣고 말씀드리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