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학(항노화)

골다공증 치료제.

유후정한의원원장 2020. 4. 14. 16:02

골다공증 치료제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약제는 비스포스포네이트입니다.

이 약제의 단기 이상 반응으로는 상부위장관 장애, 급성기 반응으로 발열, 독감유사증상이 있으며, 근골격계 통증, 저칼슘혈증, 안구 염증 등이 있습니다. 특히나 경구용일 경우 식도염, 식도 궤양, 위궤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약시 200ml 이상의 물과 함께 복용하며 투약 후 30분이상 기립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장기 복용시에 턱뼈 괴사나 비전형적 골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말고도 선택적 여성호르몬 수용체, 비타민K2, 활성형 비타민 D, 조직선택적 여성호르몬 복합체, 티볼론, 여성호르면, 부감상샘호르몬, RANKN단클론항체 등이 있습니다.

한약으로는 앞서 소개해드린 결명자차나 황련해독탕, 가미좌귀음 등의 여러 처방들이 있습니다.

약제 뿐만아니라 근력강화 운동이나 산책, 조깅, 계단오르기, 요가, 태극권 등의 가벼운 운동과 적절한 체중유지도 상당히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