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한 10가지 실천법
수능 한파 때문인지 날씨가 많이 춥습니다.
얼마전 모방송에서 나온 행복을 위한 10가지 실천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1. 매일 저녁, 그 날 일어난 감사한 일 3가지를 일기에 쓴다.
2. 신문에서 감사할 만한 뉴스를 찾아 스크랩한다.
3. 평소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지 못한 사람을 찾아서 감사편지를 전한다.
4. 나에게 하루에 한가지씩 선물을 준다.
5. 하루 한 번씩 거울을 보고 크게 소리내어 웃는다.
6. 남에게 하루에 한 번 친절한 행동을 한다.
7. 아무도 모르게 좋은 일을 한다.
8. 대화하지 않던 이웃에게 말을 건다.
9. 좋은 친구나 배우자와 일주일에 한 시간씩 방해받지 않고 대화한다.
10. 연락이 끊겼던 친구에게 전화를 해서 만난다.
정리하면 감사하기, 친절하기, 선행하기로 귀결됩니다.
우리 뇌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아직까지도 현대과학이나 의학으로 다 밝혀내지 못한 신비한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면상태에서 마늘을 실제 먹이면서 초콜렛이라고 최면을 걸면 실제 초콜렛 맛을 느낄정도로 단순합니다.
우리가 근력운동을 하면 근육이 발달되듯이 뇌도 반복적인 학습과 훈련을 통해서 얼마든지 자신감을 회복하고 행복감을 고취시킬 수 있습니다.
상기의 방법은 유명 심리학자들이 수많은 실험과 통계를 거쳐서 나온 해법입니다.
단순한 방법같지만 실제 매일매일 실천하다보면 두달 뒤 혹은 6개월 뒤에 달라지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것입니다.
또한 방송내용 중에서 기억나는 부분을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자녀교육에 대해서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자녀와 잠자리에 들기전에 하루를 정리하고 대화하는 방법입니다.
1.오늘 하루동안 즐겁고 기분 좋았던 일을 열거하게 합니다.
2. 반대로 오늘 하루 우울하고 기분 나빴던 일을 터놓고 얘기하게 합니다.
3. 기분 좋은 일이 기분나빴던 일보다 많아서 오늘 하루 잘 살았다고 긍정적으로 이끌어 줍니다.
(설사 기분좋은 일이 적었더라도 맛있는 음식을 먹었다던지 부모님이 일찍 귀가해서 기분이 좋았다던지 몇가지를 떠올려서 좋은 일이 많은 것으로 인식을 심어줍니다)
4.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나 제일 바라는 소망을 마음속에 그려보고 얘기하게 합니다.(소망을 말하는 자녀의 얼굴 표정을 들여다 보십시요.)
5. 소망에 제목을 붙이게 해서 더욱 마음속에 자리잡도록 도와주고 오늘밤 소망이 이루어지는 좋은 꿈을 꿀 수 있도록 암시를 줍니다.
6. 마지막으로 자녀의 장점이나 강점을 함께 열거하면서 그러한 장점이 쌓여가면서 점점 더 나은 미래가 될 것이라는 희망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