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교실

비만과 관련된 다양한 합병증-강서구 유명한 한의원 유후정한의원

유후정한의원원장 2015. 1. 29. 17:15

비만은 남성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의 14%, 여성에서는 20%를 차지하며 특히 BMI(체질량지수) 30이상인 경우 위험도가 훨씬 증가한다고 합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을 하나하나씩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첫째, 고혈압입니다.

비만과 관련된 혈압상승은 혈관 저항성 뿐만아니라 염분 흡수와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둘째, 이상지질혈증입니다.

비만은 중성지방을 상승시키고, HDL을 감소시키며 동맥경화의 위험도가 높은 LDL의 상승은 아주 조금만 일으킵니다.

 

셋째 당뇨병입니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주 원인입니다.

BMI(체질량지수)22이하에서는 제2형 당뇨병의 위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BMI가 31일때의 위험도는 22이하일 때보다 무려 40배 증가한다고 합니다.

 

넷째 대사증후군입니다.

비만과 관련된 대사증후군은 여러 질환을 일으킵니다.

다음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날타날 때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합니다.

혈압130/85이상,

중성지방150mg/dL,

HDL 여성에서 50 남성에서 40mg/dL이하,

공복혈당 110mg/dL이상,

허리둘레 여성35인치 남성40인치이상(미국기준)

 

다섯째 심장질환입니다.

다른 위험인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비만은 심장부하를 높여서 심근질환과 울혈성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섯째 암입니다.

90만 명에 대한 16년 추적연구에서 중증비만은 남자에서는 52% 여자에서는 62%의 암사망율 증가를 가져왔습니다.

 

일곱째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70%는 비만환자입니다. 비만환자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발생률은

약 40%입니다.

 

여덟째 폐질환

비만은 흉곽의 운동저하 뿐만아니라 호흡근력의 감소를 통해 호흡 부하를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아홉째 지방간

지방간질환은 간수치를 증가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질환이며, 미국 인구의 약 20%에서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고 합니다.

 

열번째 정형외과적 질환

소아에서 과체중은 대퇴골두골단분리증, 외반슬, 평발, 척추측만증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합니다.

성인에서 비만은 퇴행성관절질환의 원인이 되며 특히 슬관절에 나타납니다.

 

열한번째 담낭질환

체중이 늘어날수록 콜레스테롤의 생성은 증가하고 담낭을 통한 콜레스테롤의 분비도 증가합니다.

담낭액내의 상대적인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결석생성을 가져 올 수 있다고 합니다.

 

열두번째 정신과질환

과체중에 대한 사회적 반향은 소아에게 자아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여성에게는 우울증과 연관된다고 합니다.

 

이렇듯 비만으로 인한 영향은 우리 신체 뿐만아니라 정신과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급격하게 체중감량을 하다보면 오히려 담낭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며 탈모, 결석, 빈혈, 생리불순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므로 전문가를 통한 지도를 통해서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