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한의학

치매(Dementia)에 대한 소고.-마곡동 유명한 한의원 유후정한의원

유후정한의원원장 2015. 2. 10. 17:49

치매는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장애를 뜻하며 일상생활, 사회활동,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치매는 영어로 Dementia 라고 하고, 한자로 痴呆(원래는 癡呆)라고 씁니다. 어리석을 치, 어리석을 매라는 뜻입니다. 인지능력과 기억력이 감소되어 어리석음을 뜻하는 것입니다

치매는 한가지 이상의 인지기능 즉 수행기능, 언어, 행위, 인식 등의 손상과 기억 손상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매의 유병율이 나이와 함께 증가하는데 75세까지 10-15%에서 치매가 발생하고 85세이상에서는 35-50%에 이릅니다.

치매는 보통 네가지로 구분하는데 알츠하이머치매가 60%를 차지하며, 레비소체치매가 15%, 혈관성 치매가 15% 그밖의 원인이 10%인데 여기에는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의 요소가 혼합되거나, 뇌신경계의 손상, 파킨슨병, 픽병, 헌팅톤병, 크로이펠츠야콥병 등이 있습니다.

 

좀더 자세히 치매를 설명해 드리면,

알츠하이머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라는 단백질이 과도하게 만들어져 뇌에 침착되면서 뇌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어 발병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뇌실과 이랑의 비대를 동반한 뇌의 위축을 보입니다.

 

래비소체치매는 알츠하이머와 유사하지만 환시와 파킨슨병과 비슷한 운동증상이 질병초기에 발생합니다

혈관성 치매는 다발성경색치매와 피질하혈관치매로 구분하는데 심각한 보행장애는 피질하혈관치매를 의심해야하며 국소적이고 비대칭적인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나면 다발경색치매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ct나 mri상 뇌졸중 소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는 영양섭취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매환자는 감각기관의 이상을 초래하여 편식하거나 맵고 짠 음식을 먹게 되므로 영양이 불균형하거나 체중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충분한 단백질과 열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하고 구강이나 치아질환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치매라는 어원이 한의학에서 왔듯이 동의보감 이전에도 치매에 대한 분류를 하여 왔으며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체질에 맞는 섭생법을 통해서 뇌기능저하와 치매를 예방하는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