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정생각

진심이 드러나는 눈

유후정한의원원장 2015. 2. 28. 10:29

사람의 진심은 눈을 통해 표현됩니다.

눈동자의 제일 가운데에 있는 동공은 좋은 것을 봤을 때 팽창하고 좋지 않은 것을 접하면 수축한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의 동공은 여성의 사진을 보면 커지지만 남성의 나체 사진을 보면 작아집니다. 반면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반대로 반응합니다. 마찬가지로 카드마술사는 동공팽창으로 미리 골랐던 카드를 알아내기도 합니다.

 

인간은 44개의 안면근육으로 7000가지 이상의 표정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문화는 달라도 유사한 감정과 기분 상태에서는 비슷한 몸짓을 보인다고 합니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도 놀랐을 경우 정상인들과 마찬가지로 눈썹을 치켜 올리고, 어쩔 수 없을 때는 어깨를 으쓱 올리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문화에 따라 얼굴 표정을 감추는 방법은 차이가 있는데 미국 사람은 내적으로 슬프거나 화가 나도 친목 모임에서 미소를 짓는 방법으로 감정을 숨기기 위해서 입을 가장 많이 쓴다고 합니다.

그러나 문화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눈썹, 눈, 이마는 일관적으로 감정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진심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입보다는 눈이나 눈썹, 이마를 관찰하는게 좋겠지요.

 

예를 들어 미소는 입술 가장자리와 눈둘레근을 연결하는 큰광대근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눈둘레근은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눈주위에 잡히는 주름으로 진짜 미소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진짜 미소는 얼굴 전체를 활짝 피어나게 하므로 그렇지 않으면 거짓일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익명을 요구할 때 눈을 가리면 누구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눈은 사람의 인상에도 무척 중요합니다.

감정에 따라서 눈썹은 40개, 눈꺼풀은 23개의 다른 형태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표정을 지을 때 관여하는 얼굴 부분의 조합은 수없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문화에서는 대화시간의 60~70% 정도 상대방과 눈을 맞추면 좋은 라포르가 형성됩니다. 보통 자신이 말을 할 때에는 40%는 눈을 맞추고 들을 때는 80% 맞추게 되는데 시선의 90%는 양쪽 눈과 입으로 연결되는 삼각형 안을 보게 됩니다.

 

두 사람이 마주할 경우 서로의 얼굴을 3초간 훑어보고 잠시 눈길을 아래로 향하게 되는데 만약에 시선을 위로 치켜 뜨면 상대방을 당황하게 하거나 관심이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