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한의학
수곡지기 (水穀之氣)란?
유후정한의원원장
2015. 9. 16. 11:01
수곡지기 (水穀之氣)란 음식물을 섭취하여 흡수된 영양물질을 한의학에서 가르키는 용어입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입안에서 타액 속의 아밀라아제와 같은 효소와 섞이고, 저작을 통해서 위장으로 내려갑니다. 그 다음에 위장의 부숙(腐熟)기능과 비장의 운화(運化)기능을 통해서 수곡지기가 만들어집니다.
위장의 부숙기능이란 위장의 연동운동과 함께 위에서 분비되는 펩신이나 트립신 같은 소화 효소와 위산 등을 통해서 음식물이 소화되는 것을 말하며, 비장의 운화기능이란 위장을 지나서 십이지장을 거쳐 대장까지 담즙이나 췌장액이 분비되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한 후에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는 과정을 함축적으로 말하는 것입니다.
수곡지기는 짧게는 곡기(穀氣)라고 합니다. 우리가 뷔페 음식을 배불리 먹고 집에 와서 배가 고파 밥을 찾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뷔페 음식을 먹었지만 곡기가 부족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또는 고기를 많이 먹었지만 마지막에 밥 한 공기를 찾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동양의학 즉 한의학에서는 곡기 즉 쌀을 통해서 얻어지는 영양을 가장 중요시 한 것입니다.
인체 신진대사에 가장 필수적인 물과 곡기를 합쳐서 수곡지기라고 하여 음식물의 영양물질을 뜻하는 이유를 이제 아시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