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습기는 집안에만 쌓일까요?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한의학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인체 영향에 대해서 많이 연구해왔습니다.
풍,한, 서, 습, 조, 화 여섯 가지를 육기(六氣)라고 해서 인체에 오장육부와 기의 통로인 경락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순서대로 바람, 추위, 더위, 습기, 건조함, 화기에 의한 영향을 말합니다.
풍은 주로 봄철에, 한과 서는 겨울과 여름에 영향을 줍니다.
습은 요즘처럼 장마철에 영향을 주고 조는 가을 건조한 시기에 영향을 주며
화는 불특정한 시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마철에는 옷장 안 뿐만아니라 집안 곳곳에 영향을 줘서 가전제품이나 가구에도 안좋은 영향을 줍니다.
우리 인체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여러 장기에 영향을 주는데,
특히 관절강내 압력이 높아져서 무릎이나 손가락 마디마디가 뻣뻣해지고 통증을 유발하게 되고
여성의 경우에는 산후풍이라 하여 골반과 하체 뿐만아니라 우리 몸 구석구석 관절들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또한 습한 계절에는 우리 몸의 소화기능도 떨어져서 식욕저하나 무기력, 전신권태감 등도 발생하게 됩니다.
신장, 방광의 체액을 조절하는 배설기능도 저하되어 붓거나 체중이 증가할 위험성도 커지게 됩니다.
사장체질로 보면 뚱뚱해서 비습(체지방과 노폐물)이 많은 체질인 태음인들이 습한 계절에 가장 힘들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마철 건강을 유지하려면 축축 쳐지는 몸의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가만히 앉아서 쉬는 것보다나 많이 걷고 움직이면서
활동량을 늘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차로는 뽕나무차나 율무차 등이 우리 몸의 노폐물이나 습독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며
지나치게 잠만 오거나 무기력한 경우에는 체질에 맞게 한약 처방을 드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