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풍과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공항동 한의원 유후정한의원
여성들이 살면서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 출산의 고통과 함께 산후풍입니다.
평소 건강하던 여성분들도 산후풍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임신을 준비하는 분이나
임신중인 분들은 산후풍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산후풍은 출산후에 주로 관절에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보통 하복부나 골반, 요추, 손가락, 손목, 어깨, 무릎, 발목관절 등에 통증이 오거나
시린 증상이 생기며 머리에도 시린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산후풍의 풍이란 뜻은 글자 그대로 바람이란 뜻인데 산후에 여러관절에
바람처럼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통증을 일으키기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래서 류마티스 관절염을 역절풍이라고 하고 요산수치가 높아서 관절이 여러군데 아픈 것을 통풍이라 하듯이 한의학적으로 관절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아픈 경우 풍이란 글자를 붙입니다.
또한 산후풍은 관절의 통증과 시린감각과 함께, 어지럼증, 식은땀, 변비, 무기력증, 두통, 식욕부진, 소화불량,부종 등의 증상을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말기로 갈수로 임부의 맥박도 빨라지고 증가된 체중과 함께 부종, 하지저림 등으로 고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분만과 함께 벌어진 골반은 제자리를 찾는데 보통 6주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인대같은 연부조직들이 회복되는데는 보통 백일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출산후에 그 기간동안 휴식을 잘 취하고 영양흡수를 잘 하셔야합니다.
산후 우울증이나 탈모같은 경우 대부분 산후풍과 함께 영양결핍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후풍을 예방하기위해서는 임신중에 과도한 열량흡수를 방지해야 합니다. 임신전보다 20kg이상 체중이 증가하면 임신중독증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산후에도 산후풍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달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적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산후에 나타나는 산후풍을 치료하기 위해서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제일 중요한 사항이 두가지입니다.
첫째 식은땀이나 과도한 땀이 나지 않아야 합니다. 과도한 땀이 나게되면 음혈이 고갈되어(전해질 불균형) 모유수유하는데 지장이 되고 산후풍회복이 지연되고 산후탈모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두번째로는 변비입니다. 변비가 심해지면 소화기계통 뿐만 아니라 골반이나 회음부의 산후회복이 더뎌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산후에는 반드시 산후풍을 예방하는 한약을 통해서 변비나 빈혈, 식은땀, 관절통증을 치료하고 순조롭게 오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게 중요합니다.
요즘 산모들은 한약의 필요성을 못느껴서 적절한 시기에 산후풍예방약을 드시지 않고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뒤늦게 한의원에 찾아오시게 됩니다. 서양인들은 한국여성에 비해서 산후풍증세가 드물고 양질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해서 관절이나 근육형성이 좋은 편이라 산후에 바로 냉수샤워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젊은 여성들은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해서 골다공증의 위험성도 높은 편이며 관절이나 근육이 약해서 산후풍으로 고생하는 비율이 높은 상황입니다.
산모가 건강해야 양질의 모유 수유가 가능하기때문에 엄마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서 산후조리 한약을 전문한의사에게 처방받아서 복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실험결과 한약을 복용하면 모유의 질이 월등히 좋아지는 결과가 나왔으며 되도록이면 모유수유는 돌때까지 계속하는게 바랍직합니다.
한약을 통해서 모유량을 늘려드릴 수도 있으며 모유수유를 원치 않는 분은 모유가 멈추도록 처방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진찰시에 말씀해주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