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소아기에서 가장 흔히 진단되는 행동장애로서 4%에서 12%의 유병율을 보일 정도로 높습니다.
여자 아이들보다 남자 아이들에게서 더 흔히 볼 수 있으며 주의력결핍, 과다행동, 충동성, 학습부진 혹은 행동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는 아동의 경우에는 ADHD를 고려해야 합니다.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은 아동기부터 청소년기를 거쳐서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만성 장애인데 일반적으로 증상들은 10세부터 25세 사이에 매 5년마다 절반씩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는데 주의력결핍 증상은 지속되지만 과다행동 증상은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에 대한 진단기준
주의력결핍-아래에 나열된 증상들 중 최소 6가지 이상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며, 각 증상들은
부적응증을 유발하고 정상 발달 과정에 맞지 않는 정도여야 한다.
1.학업, 일, 기타 활동 중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 한다.
2.과제 수행이나 놀이 중 지속적인 주의집중에 자주 어려움을 갖는다.
3.대놓고 이야기 하는데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자주 있다.
4.지시를 따라오지 않고 학업이나 심부름을 끝내지 못하는 수가 자주 있다.(반항적이거나 혹은 지시를 이해하지 못해서가 아니다.)
5.과제나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에 자주 곤란을 겪는다.
6.지속적으로 정신을 쏟아야 하는 일을 피하거나, 싫어하거나 혹은 거부하는 수가 자주 있다.
7.과제나 활동에 필요한 것들을 자주 잃어버린다.(예들 들어 숙제, 연필, 책, 도구, 장난감 등)
8.외부에서 자극이 들어오면 쉽게 주의가 산만해진다.
9.일상적인 일들을 자주 잊어버린다.
과다행동-충동성:아래에 나열된 증상들 중 최소 6가지 이상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며, 각 증상들은 부적응증을 유발하고 정상 발달 과정에 맞지 않는 정도여야 한다.
과다행동
1.손발을 가만두지 않거나 자리에서 꼬무락거린다.
2.가만히 앉아있어야 하는 교실이나 기타 상황에서 돌아다닌다.
3.적절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나치게 달리거나 혹은 기어오른다.
4.조용하게 놀거나 레저활동을 하지 못하는 수가 많다.
5.쉴 새 없이 활동하거나 혹은 마치 모터가 달린 것 같이 행동한다.
6.자주 지나치게 말을 한다.
충동성
1.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해 버리는 수가 많다.
2.차례를 기다리는 것이 어렵다.
3.다른 사람에게 무턱대고 끼어들거나 방해한다(말이나 게임에서 끼어든다.)
상기 주의력결핍이나 과다행동-충동성 중에 하나에 해당하며
장애를 일으키는 많은 증상들이 7세 이전에 나타나야 하며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생활 영역(예 학교, 직장, 가정)에서 이 증상들로 상당히 지장이 있어야 하며
사회활동, 학업, 직업 수행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장애의 증거가 명백하게 있어야 한다.
증상이 전반적 발달장애, 정신분열병 또는 기타 정신증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정신장애(기분장애, 불안장애, 해리장애, 성격장애)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을 경우에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로 진단하게 됩니다.(DSM-IV-TR 진단기준)
연구결과에 따르면 ADHD는 중추신경계에 기인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족유전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에 92% 이란성 쌍생아의 경우에 33%가 일치한다고 합니다. 또한 ADHD 아동의 부모 역시 ADHD의 병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의학적으로는 오장육부의 부조화를 교정해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치료방법으로써 온담탕이나 치자시탕, 귀비탕, 육울탕, 인숙산, 육미지환환 등의 처방과 침치료 요법 등으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한의소아과(성장,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장애를 일으키는 주요 질환 (0) | 2015.03.04 |
---|---|
흔들린 아이 증후군(Shaken Baby Syndrome) (0) | 2015.03.04 |
아이에게 필요한 영양소 -아연(Zn) (0) | 2014.08.29 |
우리아이 관찰하기4 (키와 몸무게) (0) | 2014.01.13 |
우리 아이 관찰하기3 (대변의 모양과 색깔) (0) | 201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