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정생각

혈전(thrombus)이란?-공항동 유명한 한의원 유후정한의원

유후정한의원원장 2015. 5. 4. 17:46

위험성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혈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혈전은 혈액 중 섬유소원과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얽혀서 피가 끈끈해질 때 생깁니다.

이러한 혈전은 혈류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혈류를 막음으로써 조직이나 장기에 허혈성 손상을 일으켜 심각한 질환을 유발합니다.

 

또한 혈관벽에 부착되어 있던 혈전이 떨어지면서 혈류를 타고 다른 부위로 이동해 혈관을 막는 덩어리가 되면 색전(embolus)이라 하는데

좁아진 혈관이나 병목현상을 보이는 혈관을 막아조직이나 장기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질환을 색전증이라 합니다.

 

혈전색전증은 혈전증과 색전증을 합친 말로 뇌졸중, 심장병, 폐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등을 야기할만큼 생명에 큰 위협을 주게 됩니다.

 

혈전은 동맥혈전과 정맥혈전으로 나뉘게 됩니다.

동맥혈전은 동맥에서 형성된 혈전이 말초혈관을 막아 혈전이 생긴 부위 아래의 조직이나 장기에 혈류장애를 일으키는데 급성심근경색이 동맥혈전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어 뇌졸중이나 하지혈액순환장애 등을 2차적으로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맥혈전은 정맥혈액의 울혈로 부종 염증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주로 종아리 정맥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다리에서 시작하는 심부정맥혈전증으로 발생한 혈전은 폐동맥을 막아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폐색전증을 일으킬 수 있고 만성적 정맥부전을 초래합니다. 심부정맥혈전증은 폐색전증 뿐만아니라 후정맥염증후군이라 하여 하지에 부종, 정맥정체, 색소침착, 피부궤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혈전은 흡연이나 고혈압, 당뇨, 비만, 운동부족, 고콜레스테롤혈증,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우리가 아는 아스피린이 대표적으로 혈전을 용해하는 약입니다. 혈소판응집을 억제하는 아스피린이 해열, 진통, 소염의 효과도 있지만 속쓰림, 구역, 구토, 위장출혈의 위험성도 있습니다.

 

또한 이미 형성된 혈전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마딘 계열의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부작용으로 각종 출혈을 유발할 수 있어서 비강, 결막, 잇몸 등에 출혈을 일으키고 과량으로 장기복용하면 혈뇨나 혈변, 흑변 등이 나올 수 도 있습니다.

 

혈전은 한의학적으로 어혈의 범주로 볼 수 있습니다. 삼칠근이나 단삼 같은 약재는 관상동맥의 혈전으로 인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질환에 쓸 수 있는 대표적인 약재이며 그밖에 당귀미, 홍화, 적작약, 소목, 도인, 천궁, 우슬 등의 약제를 응용하여 혈액순환과 혈전예방에 도움이 되는 처방들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지심부정맥 예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앉을 때 다리를 꼬고 앉지 않는게 좋습니다.

-장시간 서 있지 않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번갈아가며 한쪽 다리에만 체중이 실리도록 합니다.

-규칙적으로 걷는 운동을 합니다.

-짜게 먹지 말아야 합니다.

-다리를 베개보다 높여서 심장보다 20-30도 정도 높입니다.

-장기간 앉아있는 경우 30분마다 일어나서 몸을 풀어줍니다.

-뜨거운 목욕이나 사우나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샤워 후에는 차가운 물로 다리를 풀어주는 게 좋습니다

-다리와 발목의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면 좋습니다.

-하이힐을 삼가하며 신발 굽을 3,4cm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