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공이란 척추뼈에서 신경다발이 빠져나가는 구멍으로, 척추공이나 신경공이라고도 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처럼 들어보신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하지만 추간공협착증은 좀 생소하시죠?
척추관협착증과 마찬가지로 추간공협착증도 노화로 인해서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발생합니다. 반복적인 나쁜 자세 등으로 인해 척추가 마모되고, 작은 가시 모양으로 뼈가 자라나 신경이 빠져나가는 추간공을 좁아지게 해 이곳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경추 부위에 추간공 협착이 발생하면 목의 통증과 함께 팔이 저리거나 통증이 나타나며, 요추 부위인 경우에는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호전되고 젖히거나 오래 걸을 때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추간공협착증은 옆으로 뻗어가는 신경의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걷거나 누워 있을 때는 통증이 크게 나타나지 않지만 무거운 물건을 들어 허리에 무게가 실릴 때 엉덩이와 다리가 저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즉 자세에 따른 통증의 변화가 없다는 점이 추간공협착증의 구별되는 증상입니다.
추간공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쪽으로 기대어 오래 앉아 있는다거나 비스듬히 서 있는 자세는 추간공을 더욱 좁게 만들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며, 같은 쪽으로 계속 물건을 드는 습관도 좋지 않습니다.
추간공협착증에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는 척추 근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수영이나 걷기, 자전거타기 등이 있습니다.
한의학적인 치료방법으로 척추 주변 근골격의 힘을 강화시켜주고 신경압박을 감소시켜주는 한약과 함께 약침, 습부항, 침술요법 등이 있으며
치료기간은 일반적으로 3개월정도 잡고 치료합니다.
'한의통증의학과(디스크,협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 (0) | 2016.05.21 |
---|---|
장요근(iliopsoas muscle)에 대한 고찰 (0) | 2016.05.20 |
손이나 발저림 어떻게 치료할까요? (0) | 2015.12.18 |
허리디스크 환자 늘지만, 수술할 환자는 ‘극히 일부’ -기사링크 (0) | 2015.10.21 |
추간판내장증(디스크내장증)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강서구 유명한 한의원 유후정한의원 (0) | 201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