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이야기

이열치열은 모든 체질에 맞는 얘기일까요?

유후정한의원원장 2016. 8. 2. 16:57

무더위가 기승입니다.

더위는 뜨거운 것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해서 이열치열(以熱治熱)이란 말이 있는데요.

삼복더위에 뜨거운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고 더위를 이겨낸다고 해서 생긴 말입니다.


그런데 과연 삼복더위에 누구나 이열치열하면 될까요?

오늘도 환자 한 분이 십전대보탕을 먹고 더위를 이겨내고 싶은데 괜찮겠냐고 물어보시네요.

십전대보탕은 따뜻한 성질의 처방으로 이열치열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이지만

가족분들이 태음인이나 소양인 체질이기에 가급적이면 안드시는게 좋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소음인의 경우에는 표열증과 리한증을 나타내므로

한 여름에 리한 즉 속이 냉한 것으로 고생할 수 있으므로

이열치열 즉 따뜻한 성질의 음식이나 한약으로 통해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양인이나 태음인은 표한증과 리열증을 나타내므로

리열 즉 속의 열을 내려야 여름 무더위를 잘 견딜 수 있는데 삼계탕이나 보신탕, 십전대보탕을 드시면 오히려 땀이 더 나고

더위를 타실 수 있습니다.


여름 무더위에는 동의보감에 청서익기탕이라고 해서 땀을 줄이고 속이 냉한 것을 보충하는  처방이 있으며

생맥산이라고 해서 인삼 오미자 맥문동이 들어가는 처방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 처방 모두 사상체질에 맞게 가감하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에 맞는 체질 처방이나 음식을 통해서 여름 무더위를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